홈으로...

번지점프 피해자 "쇳덩이가 치는 고통…이벤트인줄"

  • LV 6 북극정신
  • 비추천 1
  • 추천 24
  • 조회 8746
  • 2016.09.24 10:20
<번지점프 피해자>  
-뛰기 전 안전교육, 예행연습도 전무 
-구조조차 스스로…분통터져 
-외국인 친구에 부끄러운 광경  

<충남대 정문현 교수>  
-허가제 아닌 신고제…누구나 가능 
-관리감독? 안전 기준조차 없다 
-고리 채웠는데 풀렸다? 불가능 
-외국과 달리 미숙한 요원 많아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유수정(피해자), 정문현(충남대 스포츠학과 교수)

 

유원지나 놀이공원에 가면 번지점프 즐기는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그 점프대와 몸을 연결한 안전줄이 풀어지는 상황, 상상해 보셨습니까? 실제로 이런 일이 우리나라에서 일어났습니다. 며칠 전 42m 높이의 번지점프대에서 한 여성이 추락한 건데요.

다행히 아래에 물이 있어서 목숨을 건졌습니다. 그런가 하면 얼마 전에는 롯데월드의 자이로드롭이라는 놀이기구가 60m 높이에서 멈춰서는 사고도 있었죠. 안전 사각지대에 놓인 레포츠 시설 문제 오늘 좀 짚고 가야겠습니다. 먼저 이번에 이 번지점프 사고를 당한 당사자세요. 유수정 씨를 직접 연결해 보죠. 유수정 씨, 나와 계십니까?  

◆ 유수정> 네, 안녕하세요.  

◇ 김현정> 참 어려운 상황인데 다시는 이런 사고가 없어야 한다 알리기 위해서 오늘 인터뷰에 응해 주셨어요. 고맙습니다.  

◆ 유수정> 네.  

◇ 김현정> 지금도 병원에 계신 거죠?  

◆ 유수정> 지금 병원이에요.  

◇ 김현정> 어떤 상태세요?  

◆ 유수정> 안면부터 해서 다리 빼고, 가슴, 복부 아래까지… 허벅지는 그다음까지 아팠고요.

◇ 김현정> 타박상, 전신 타박상?  

◆ 유수정> 네.  

◇ 김현정> 이만하기를 정말 천만다행이시네요.  

◆ 유수정> 예. 감사합니다.  

◇ 김현정> 참 이게 떠올리기 싫은 기억이시겠지만 사건이 발생한 지난 14일로 좀 돌아가보겠습니다. 이게 어디에 있는 번지점프대였죠?  

◆ 유수정> 강촌에 있는 거예요.

◇ 김현정> 강원도 강촌에 있는. 42m 높이라고 하던데 이게 아파트로 치면 몇 층이나 되는 겁니까?  

◆ 유수정> 14층에서 15층 정도 되는 걸로 알고 있어요.

◇ 김현정> 올라가면서부터 뭔가 좀 허술함을 느끼셨어요?

◆ 유수정> 원래 (전에 번지점프를) 했었고요.  

◇ 김현정> 아, 원래 번지점프를 해본 분이셨어요?  

◆ 유수정> 도착했을 때 (원래는) 다른 데서 이제 매트를 놓고요. 시험낙하식으로 이렇게 해서, 거기서 (낙하를) 몇 번을 시킵니다. (그렇게 낙하하도록 하는데 이번에는) 그게 전혀 없었어요.

◇ 김현정> 그러니까 안전교육 같은 게 전혀 없었어요?

◆ 유수정> 저는 했었으니까 그냥 저도 '여기는 이걸 안 하네'라고만 생각을 했었어요.

◇ 김현정> 그 안전줄을 매는 순간 이게 점프대와 연결 안 돼 있을 거라는 상상은 당연히 전혀 못하셨겠죠?  

◆ 유수정> 당연하죠.  

◇ 김현정> 그러면 그 안전요원은, 나중에 물어보셨을 거 아니에요. 안전요원은 이 줄하고 점프대하고 연결 안 된걸 확인을 안 했답니까?  

◆ 유수정> 제가 동영상을 보고서 (그쪽에) '이게 연결이 안 돼 있었다, 보니까. 그냥 줄하고 나하고 같이 떨어지지 않느냐' 그랬더니 기어들어가는 목소리로 그러더라고요. ‘연결은 했는데 풀린 것 같아요’ 이런 식으로 얘기를 해요.  

◇ 김현정> 연결은 우리가 했는데 풀린 것 같다고요? 세상에.

◆ 유수정> 그런데 반동이 전혀 없었거든요.  

◇ 김현정> 반동이 전혀 없이 후루루룩. 저도 동영상 봤습니다마는 뭐 한번 튕겼다가 떨어진 게 아니라 아예 그냥 후루룩 줄이 떨어지던데요.  

◆ 유수정> 네. 그런데 업체에서는 반동이 있었다고 설명을 한 거죠.

◇ 김현정> 어쨌든 그래서 번지점프대 서서 뛰었습니다. 뛰어내리는 순간 뭔가 느낌이 다르던가요? 바로 느끼셨습니까?  

◆ 유수정> 여기 그냥, 이벤트인 줄 알았어요.  

◇ 김현정> 세상에.  

◆ 유수정> 물이 닿을 때까지도 저는…안면부터 탁 닿는데 닿고.

◇ 김현정> 건져주는 거구나, 하고.  

◆ 유수정> 바로 몸이 탁 닿으면서 같이 추락을 했는데도 그때까지도 저는 그게 이벤트인 줄 알았던 거예요.  

◇ 김현정> 아이고. 그런데 그냥 그대로 호수 밑으로 가라앉은 거예요, 몸이?

◆ 유수정> 네. 그런데 너무 오래 있는다 싶어서… 너무 아팠어요, 그 순간에는.

◇ 김현정> 이게 사실은 중력에다가 속도까지 더해져서 그 마찰의 충격이라는 게 어마어마했을 거거든요.  

◆ 유수정> 네. 그냥 숨이 턱 막히면서 너무나 아팠어요, 그냥. 쇳덩어리가 차라리 저한테 떨어지는 느낌이라고 하면 맞을 것 같아요. 제가 이렇게 누워 있으면 쇳덩어리가 저한테 떨어지는 느낌이랑 비슷할 것 같아요.  

◇ 김현정> 쇳덩어리 하나가 몸으로 툭 떨어지는 그런 느낌.

◆ 유수정> 네.  

◇ 김현정> 그런데 한없이 밑으로 추락을 한 겁니다. 그럼 번지점프 업체에서 바로 구조에 나서기는 했습니까?  

◆ 유수정> 아니요.  

◇ 김현정> 아니요?  

◆ 유수정> 네.  

◇ 김현정> 아니라고요?  

◆ 유수정> 제가 여기에서 화가 나는 거거든요.  

◇ 김현정> 어떻게 됐는데요?  

◆ 유수정> 그렇게 한 25초에서 30초가량을 물속에 있었어요, 저는. (그러다가) 이대로 안 되겠다 싶어서 제가 발버둥을 쳐서 얼굴을 꺼냈는데 그때 천천히 출발을 하는 거예요, 배가.

◇ 김현정> 아니, 유수정 씨가 떨어지자마자 바로 출발하는 게 아니라 바둥바둥거리고 얼굴 올리고 나니까 저쪽에서 오기 시작해요?  

◆ 유수정> 네. 배가 그렇게 제 앞에 도착하고, 그 안에 동영상 찍던 친구가 놀라서 같이 타고 왔어요.  

◇ 김현정> 그 배를?  

◆ 유수정> 네. 막 뛰어와서 친구가 구해주려고 하는데 바깥쪽에서 소리가 들렸거든요. 'agassi 올라와야 돼요. 안 그러면 죽어요'라고 (하더라고요).  

◇ 김현정> 아니 그럼, 친구가 결국 구해 준 거예요, 물에서 꺼낸 건?

◆ 유수정> 친구하고 제 힘으로 했어요. 둘이 힘으로 해서 겨우 올라올 수 있었어요.

◇ 김현정> 이게 지금 어이없는 사고가 발생했는데 그럼 배가 빨리 와가지고 응급 튜브라도 아래로 내리고 밧줄을 내려서 사람을 끌어올릴 생각을 해야 되는데 바깥에서 ‘알아서 올라오세요, 빨리 올라오세요’ 이랬단 말이에요?  

◆ 유수정> 네.  

◇ 김현정> 말로만?  
 

사고 당시 모습. (사진=유튜브 영상 캡처)

 

◆ 유수정> 네. 아무도 안 왔어요. 심지어 거기 배 안에 있던 직원도 저를 안 구했는데요. 바로 앞에 있는데도 안 구했는데요.  

◇ 김현정> 아니, 이제 좀 정신 차리고 난 다음에 그 업체에다가 추궁을 하셨을 거 아니에요. 도대체 이 엉성한 상황 이게 뭐냐, 아까 끈 풀린 거에 대해서 사장이 그렇게 해명했다 그러고 그 후의 상황에 대해서는 뭐라고 해명합니까?  

◆ 유수정> 사과 한마디도 못 받았고요. 사과 한마디라도 제대로 받았으면 이렇게까지도 화가 안 날 것 같아요.  

◇ 김현정> 강촌이면 유명한 유원지죠. 유원지에 마음먹고 놀러가신 걸 텐데요?

◆ 유수정> 유명한 유원지고요. 같이 간 친구들이 다 외국인 친구들이었어요. 그거에 대해서 창피하고 일부러 유명하다고 해서 간 건데요.  

◇ 김현정> 창피한 상황. 참 이 상상도 못할 일을 겪고 보니까 어떠세요?

◆ 유수정> 아직도 안 믿기고요. 너무 끔찍한 일인데 제가 원래 꿈을 되게 잘 꿔요.

◇ 김현정> 꿈. 

◆ 유수정> 항상 잘 때마다 꿈을 꾸는데 떨어지는 느낌이 나요, 몸에서. 그러면서 깨요, 계속.

◇ 김현정> 한마디로 악몽을 계속 지금 꾸고 계시는 거네요.

◆ 유수정> 해수욕장도 못 갈 것 같아요.  

◇ 김현정> 물도 무서워서?  

◆ 유수정> 네, 일단 이렇게 (사고를) 겪고 나서 저도 많이 알아봤는데, 이 (번지점프) 자체가 허가제가 아니고 그냥 신고만 하면 된다고 하더라고요. 이거 자체가 잘못된 것 같아요. 사람 생명이 달린 일인데 일단 그것부터 고쳐져야 할 것 같아요.  

◇ 김현정> 너무도 허술한 안전망. 유명한 대표 유원지라고 하는 곳인데 어떻게 이렇게 허술하게 관리가 되고 있을까. 이런 게 참 지금 이해가 안 가시는 거예요. 몸조리 잘하시고요. 정말 이러기를 천만다행입니다. 얼른 훌훌 털고 일어나시기를 저희도 응원하겠습니다.

◆ 유수정> 네, 감사합니다.  

◇ 김현정> 고맙습니다. 이번 번지점프 추락사고의 피해자 유수정 씨를 직접 만나봤습니다. 도대체 어떻게 관리가 되고 있길래 이렇게 유원지 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걸까요. 전문가 한 분 만나보죠. 충남대학교 스포츠과학과 정문현 교수입니다. 정 교수님 안녕하세요.
 

 

◆ 정문현> 안녕하세요.

◇ 김현정> 이번 사고 왜 어떻게 벌어진 거라고 지금 파악하고 계세요?

◆ 정문현> 몇 가지 원인들이 있는데 첫 번째는 안전 근무자들이 단기 안전교육만 받고 기초교육만 받고 안전의식이 결여된 사람들이 운영한 문제가 있는 것 같고요. 미국의 경우를 보면 번지점프의 안전요원으로 근무를 하려면 번지점프 회사에서 근무한 경력이 200시간 이상이거나, 본인이 번지점프 경력이 250회 이상 있어야 전문요원으로 배치될 수가 있어요.

◇ 김현정> 그 정도로 규제를 해요?  

◆ 정문현> 두 번째는 장비에 대한 점검 이런 것들이 좀 철저하지 않은 문제들이 있습니다.

◇ 김현정> 지금 이 업체의 사장은 우리가 끼우기는 끼웠는데 아마 그게 중간에 풀린 것 같다, 이렇게 얘기를 하고 있어요.  

◆ 정문현> 번지점프 고리는 나사로 돌리게 돼 있어요. 그래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절대 풀리지 않습니다.  

◇ 김현정> 아, 충격을 받았다고 해서 풀릴 수 없다.  

◆ 정문현> 풀리지 않습니다. 그래서 1차 충격에 빠졌다는 게 말이 안 되는 거고요. 만약에 1차 충격에 그 고리가 부러졌다고 하면 말이 되는데 동영상으로 봤을 때는 그런 모습이 보이지 않습니다.

◇ 김현정> 1차 반동이고 2차 반동이고 아예 없어요.  

◆ 정문현> 없습니다.  

◇ 김현정> 그냥 안 채운 거예요. 안 채웠다는 얘기는 그러니까 그 운영하는 안전요원이 아주 미숙했다는 얘기네요.  

◆ 정문현> 그럴 수 있습니다. 아마도 경험이 많이 있는 사람은 아닌 걸로 판단이 됩니다.

◇ 김현정> 아니, 이렇게 아무나 이 위치에 세워도 되는 건가요?

◆ 정문현> 대부분의 레저업체들이 영세하고 주말만 운영을 하기 때문에 시골에서 20만원 정도 주는 아르바이트생들을 쓰는데요. 이 사람들이 주말에 몇 백 명이 뛰기 때문에 빨리빨리 뛰게 해야 하는 거죠. 그러다 보니까 그런 것이 좀 미숙한 사람들이 놓칠 수 있고요. 두 번째는 안전 근무자가 한 명이면 안 됩니다.  

◇ 김현정> 혹시라도 실수할 수 있으니까.  

◆ 정문현> 옆에서 체크를 하면 또 한 명이 확인하고 뛰게 해야 되는데 그게 한 사람이면 안 되는 거죠.  

◇ 김현정> 그렇군요. 이렇게 한 번 사고가 벌어지면 이게 생명과도 직결될 정도의 놀이기구인데 도대체 관리는 어떻게 되고 있는 겁니까?  

◆ 정문현> 관리를 못하고 있죠. 이런 업종들이 신고제로 운영을 하고 있지 않습니까?

◇ 김현정> 허가제가 아니라 신고제예요?  

◆ 정문현> 사업자 신고만 하면 그냥 별다른 검사 없이 그냥 할 수 있는 거죠.

◇ 김현정> 누구나. 신고만 하면 무조건 다 할 수 있는 거예요?

◆ 정문현> 네. 그런 것들에 대한 기준이 없습니다.  

◇ 김현정> 그래요, 그래요. 그러고 나면 신고해서 운영할 때에 관리 감독은 기대하기 어려운 건가요?  

◆ 정문현> 지금 관리 감독은 지방자치단체에서 하게 되어 있는데 거의 안 하고 있다고 봐야 되는 거죠. 기준이 없으니까 사고가 나도 과실이 얼마나 있느냐에 대한 기준이 없습니다.

◇ 김현정> 이번 사고 지금 들어보면 사고가 난 후에 저쪽에서 구조배가 오기는 왔다. 그런데 와가지고는 올라타세요, 이런 식으로 해서 참 황당했다고 앞서 말씀을 하셨거든요. 그러면 안전매뉴얼 같은 것도 제대로 안 갖춰졌다는 얘기인가요?  

◆ 정문현> 그렇죠. 즉시 구조할 수 있는 시스템이 안 돼 있는 겁니다.

◇ 김현정> 그러면 번지점프가 이러면 다른 신종 레포츠들 있잖아요. 예를 들면 짚라인, 바나나보트 요즘은 글라이딩도 많이 하시고 이런 레포츠들은 어떤가요?

◆ 정문현> 비슷한 상황이고요. 짚라인도 타다 안전고리가 빠져서 똑 떨어져서 사망을 했죠. 수상스키도 마찬가지고 항공 스포츠도 끊임없이 떨어지고 있고 이런 상황이죠.

◇ 김현정> 그런데 다 그냥 관리 사각지대.  

◆ 정문현> 네.  

◇ 김현정> 왜 규제를 안 합니까? 이거 인력이 부족해서 그런 거예요, 왜 그런 거예요?

◆ 정문현> 자세하게 좀 법을 만들었으면 좋겠어요. 외국은 그런 걸 자세히 만들었거든요. 예를 들면 지금 번지점프 같은 경우에는 핵심 안전장치가 안전고리 그리고 두 번째는 코드선인데 이게 바로 이거 하나 매달려서 가니까 생명선이지 않습니까? 이게 제조사마다 몇 번 뛰면 교체하세요라고 돼 있습니다.  

◇ 김현정> 교체. 몇 번 이상 뛰면 교체하라고 쓰여 있기는 해요.

◆ 정문현> 네, 그래서 선진국에서는 한 300번 정도 뛰면 교체하세요, 그리고 250시간 이상 햇볕에 노출됐을 경우에 경화되니까 교체하세요라고 엄격하게 품질관리를 하고 있는데 국내는 이런 규정이 없습니다.  

◇ 김현정> 아주 운이 좋아서 올바른 업자를 만나게 될 경우에는 무사하게 타는 거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 정문현> 이것을 철저하게 하는 업체들도 있습니다.

◇ 김현정> 있겠죠, 있겠죠.  

◆ 정문현> 있는데 이제 영세한 업체에서는 한 번이라도 더 쓰려고 그런 것들의 교체주기를 놓치고 있는 거죠.  

◇ 김현정> 참 요즘 주5일제가 확산되면서 주말이면 전국 유원지 찾는 분들이 넘쳐나거든요. 거기에 신종 레포츠도 상당히 많고... 어떤 대책이 좀 시급히 필요할까요?

◆ 정문현> 대부분 지금 이렇게 번지점프를 하는데 서약서를 쓰고 하거든요. 사고가 나면 본인의 책임이다. 이건 말도 안 되는 거고요.  

◇ 김현정> 그런 서약서를 써요? 사고 나면 내 책임이다?

◆ 정문현> 네. 싫으면 뛰지 마라 이거죠. 관에서 이런 것들에 대한 법을 좀 빨리 만들었으면 좋겠어요.  

◇ 김현정> 그러네요. 레포츠 자체가 나쁜 건 아니니까요.

◆ 정문현> 그렇죠.  

◇ 김현정> 가서 즐길 것들을 제공하는 것 자체가 나쁜 건 아니니까 어떻게 하면 이것을 조금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을까, 그 부분을 이제 고민해야겠군요. 알겠습니다. 여기까지 말씀 듣겠습니다. 교수님, 고맙습니다.  

◆ 정문현> 네, 감사합니다.  

◇ 김현정> 충남대학교 스포츠과학과 정문현 교수까지 만나봤습니다.
 

추천 24 비추천 1

트위터 페이스북 다음요즘 싸이공감 구글 북마크 네이버 북마크
LV 3 태고멸
ㅎㅎ정신나간 놈들 미치지 않고서야~~~ㅉㅉㅉ
사망이라도 했으면...ㅎㄷㄷ
LV 5 popo50
몸이 5m 바닥에 닿았는지 안 닿았는지는 안 물어보네. 그게 궁금한데...5m수심이 42미터 높이의 낙하를 보호해주는지 궁금한데 그말은  아예 인터뷰에 없네.  바닥에 닿아서 충격을 받았다면 사망했을듯...
자유게시판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7806 진격중인 트렉터. (5) LV 15 볼매머스마… 11-25 8785 32
37805 뉴스공장 공개방송 오라고 연락왔네요..ㅎㅎㅎ (2) LV 2 hellcat 12-21 8782 22
37804 로그인이 너무 안대네요.. (41) LV 1 렌디오턴 10-28 8781 7
37803 초고속 승진 여경.. (15) LV 12 볼매머스마… 07-06 8781 34
37802 즉석복권 뭔지 모르고 눌렀다가 .. (14) LV 1 타락한아지 05-10 8779 2
37801 풀싸롱 후기 (54) LV 1 쿼다쿼파 09-14 8774 7
37800 지하철 괴담.. (5) LV 13 볼매머스마… 08-18 8774 30
37799 행복주택을 반대하는사람들.. (7) LV 15 볼매머스마… 10-21 8774 28
37798 몸을 너무도 사리지 않는 불도저 대장님 (1) LV 19 제이앤정 11-03 8773 25
37797 대륙의 추진력. (3) LV 14 볼매머스마… 08-31 8772 23
37796 유관순 열사의 친구였던, 남동순 할머니.. (4) LV 15 볼매머스마… 10-30 8764 30
37795 코끼리 접기. (2) LV 16 볼매머스마… 01-14 8764 24
37794 [블랙박스] 오토바이 운전자 (8) LV 20 유성비 09-08 8758 29
37793 영화 터널, 현실화..?? (6) LV 14 볼매머스마… 09-01 8757 27
37792 어느 분의 논리. (4) LV 17 볼매머스마… 02-22 8757 23
37791 한국인은 미쳤다 (10) LV 20 유성비 08-17 8756 32
37790 서른살 쯔음. (6) LV 17 볼매머스마… 04-04 8756 41
37789 플라스틱 쓰레기의 위험성.. (1) LV 16 볼매머스마… 01-19 8755 25
37788 지금 서해는 "전쟁터" .. (7) LV 15 볼매머스마… 10-14 8754 28
37787 말단 공무원의 고충.. (6) LV 14 볼매머스마… 09-10 8752 27
37786 왜들 이러시는지.... (4) LV 11 퇴갤이황 08-25 8751 6
37785 100만원짜리 손을 파는 남자 (5) LV 20 유성비 10-11 8749 34
37784 번지점프 피해자 "쇳덩이가 치는 고통…이벤트인줄" (2) LV 6 북극정신 09-24 8747 24
37783 '노란택시' 의 실험 (4) LV 17 볼매머스마… 04-23 8745 36
37782 힐러리에게 털리는 트럼프. (1) LV 14 볼매머스마… 09-29 8742 27
37781 이제부터 시작입니다. (4) LV 15 볼매머스마… 10-27 8739 23
37780 서양동화 한복버전. (2) LV 17 볼매머스마… 04-05 8739 24
37779 ▣▣▣ 틀린그림찾기 225 [우리는 언제나 성에 살았다] ▣▣▣ (7) LV 6 마법꽁쮸 07-03 8739 19
37778 일본 예능에 출연한 미움받는 한국 여교수 (6) LV 20 유성비 09-06 8736 39
37777 유영진이 나쁜 사람이라는 증거 (1) LV 2 bluemoonwj 08-28 8734 22
37776 서울에서 그냥 "혼자" 버티는 최저 생활비.. (2) LV 15 볼매머스마… 10-14 8734 23
37775 영국의 주택가격.. (6) LV 15 볼매머스마… 10-25 8732 24
37774 국민이 손해 (5) LV 20 유성비 10-23 8729 23
37773 연예인이 사우나 안가는 이유 (4) LV 7 북극정신 03-04 8729 27
37772 다들 개근출석하시나요? (6) LV 1 오염된태양 05-10 8725 2
37771 어떤 걸그룹 아침 식사 (4인분) (3) LV 19 유성비 07-15 8725 35
37770 한국에서 하던 짓이 안 통해서 당황한 아줌마 (7) LV 19 유성비 07-28 8725 36
37769 안정환 다이어트 (feat. 자본주의) (2) LV 20 유성비 09-05 8724 24
37768 회사원 100명 중 2명은 억대 연봉자 ㅎㄷㄷ (4) LV 1 사과향기2 01-18 8723 2
37767 현재 이슈의 중심에선 공주라 불리우는 그녀 (3) LV 20 유성비 10-19 8722 27
광고 · 제휴 문의는 이메일로 연락 바랍니다.  [email protected]   운영참여·제안 | 개인정보취급방침
Copyright © www.uuoobe.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