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키 맞먹던 토종 신발 브랜드 사라져간다…왜?

  • LV 15 아들래미
  • 비추천 0
  • 추천 6
  • 조회 2322
  • 2019.02.16 20:43
  • 문서주소 - /bbs/board.php?bo_table=politics&wr_id=49629

한때 나이키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유명했던 르까프를 생산하던 화승이 최근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갔다. 1970~80년대 수출 효자 노릇을 했던 토종 신발 브랜드가 사라질 위기다. 자체 브랜드가 없는 국내 신발업체는 나이키, 리복, 아디다스 등 해외 브랜드를 생산하는 하청업체로 전락했다. 르까프 위기를 계기로 지난 50년간 신발 산업의 흥망성쇠를 들여다봤다.

국내 신발산업은 1947년 ‘말표’라는 상표를 내세운 태화고무공업사가 고무신을 생산하면서 시작했다. 1949년 ‘왕자표’의 국제고무공업사, 1953년 ‘기차표’ 동양고무공업, 1954년 ‘범표’ 삼화고무공업 등이 잇달아 부산에 생겨났다. 부산은 신발산업이 발달한 일본에서 기술과 부자재를 쉽게 도입할 수 있는 최적지였다.  

 

나이키가 1970년 국내에 들어오면서 신발 업계에 지각변동이 일어난다. 삼화가 주문자상표부착방식(OEM)으로 나이키 제품을 생산하자 다른 신발 기업들도 자체 브랜드 대신 OEM으로 나이키 생산에 열을 올리기 시작했다. OEM으로 수출액은 급증했지만, 토종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이 급락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를 극복하고자 ‘왕자표’ 고무신을 생산하던 국제상사가 1981년 ‘프로스펙스’를, ‘기차표’ 고무신을 팔던 화승이 1986년 ‘르까프’를 선보였다. 두 브랜드는 국민 운동화 열풍을 일으키며 나이키와 맞먹을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삼화고무가 선보인 ‘타이거’도 이 무렵 전성기를 누렸다.  

 

토종 브랜드는 86아시안게임과 88올림픽을 앞두고 해외 시장에 진출했지만, 벽은 높았다. 차별화한 기술력과 마케팅 능력 부족으로 해외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지 못했다. 1985년 국제상사가 정치적인 이유로 해체하고, 1992년 삼화고무가 폐업했다. 화승은 1998년 IMF 외환위기 충격으로 부도가 났다. 2005년 법정관리에서 벗어난 화승은 2000년대 중후반 아웃도어 열풍으로 반짝 상승세를 보였지만 오래가지 못했다.

아웃도어 열풍이 꺾이자 토종 브랜드가 직격탄을 맞았다. 한국신발산업협회 노찬용 사무국장은 “소비시장이 얼어붙자 특화된 기술력과 브랜드 파워가 적은 토종 브랜드를 소비자가 외면하기 시작했다”며 “자본력과 기술력을 갖춘 나이키, 리복 등 해외 브랜드만 살아남는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졌다”고 말했다. 부산시가 1997년 금융기관, 신발업체와 함께 선보인 공동브랜드 ‘테즈락’도 유통망을 확보하지 못해 실패했다. 그나마 약진하는 토종 브랜드는 ‘트렉스타’와 ‘비트로’ 정도다.

토종 브랜드가 살아남는 방법은 특화된 기술력과 독특한 스토리가 있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스티코’를 생산하는 나노텍세라믹스 정상옥 대표는 “유통업체에 휘둘릴 수밖에 없는 OEM 제조로는 신발 업체가 살아남을 수가 없다”며 “특수한 기술력과 소비자의 감성을 파고드는 스토리가 있어야 토종 브랜드가 살아남을 수 있다”고 말했다.    

추천 6 비추천 0

Print